등 쪽 근육에 통증이 발생하는 ‘흉추통증’ 환자는 6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 흉추통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22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국내 흉추통증 환자는 2015년 13만 9천 명에서 2019년 15만 3천 명으로 10.5%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5%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19년 기준으로 60대가 20.9%(3만2천명)을 차지해 가장 많았고 50대 19.5%(3만명), 70대 17.8%(2만7천명)의 순이었다.
흉추통증의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2015년 275명에서 2019년 298명으로 8.4% 증가했으며 연령대별로는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해 70대 여성이 10만 명당 989명으로 가장 높았다.
흉추통증 진료비는 2015년 85억 6000만원에서 2019년 124억 7000만원으로 45.7% 증가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9.9%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대 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진료비 규모가 큰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비 규모가 더 크고 여성의 경우 60대 여성이 가장 높아 24%인 18억 원을 사용했다.
흉추통증 1인당 진료비는 2015년 62000원에서 2019년 81000원으로 31.9% 증가했으며 남성과 여성환자의 증가율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령대별 1인당 진료비는 전체적으로 연령증가에 따라 증가했으며 9세 이하는 1인당 36000원으로 가장 낮았고 80대 이상은 92000원으로 9세 이하의 2.5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융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6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연령의 증가로 인한 척추 근육과 관절의 노화로 인하여 흉추통증이 발병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며 “흉추통증은 등 근육 강직과 노화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드물게 이차적인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도 있어 통증이 심하고 지속되는 경우 반드시 의료기관을 찾아 이에 대한 진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